근로자들이 가장 관심이 많은건 역시 임금에 관련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중 예민할 수 밖에 없는 시간외 근무수당에 대해서 지금부터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간외 근로수당의 개념
시간외근로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으로,
규정된 시간을 초과해 근무한 것에 대하여 지급되는 수당을 이야기합니다.
법 조항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제56조(연장 ·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ㆍ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개정 2018. 3. 20.>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신설 2018. 3. 20.> 1. 8시간 이내의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2. 8시간을 초과한 휴일근로: 통상임금의 100분의 100 ③ 사용자는 야간근로(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6시 사이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신설 2018. 3. 20.> |
2. 시간외 근로수당의 종류
위 조항을 풀어서 그 시간외 근로수당의 종류를 살펴보면 세가지로 구분됩니다.
1) 연장근로수당은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을 초과해서 근로한 시간에 대해 발생한 수당을 이야기하며, 통상임금의 50%가 됩니다. 다만 주 12시간 넘지않도록 제한됩니다.
2) 휴일근로수당은 주휴일에 근무를 할 경우 발생하는데, 8시간 이내로 근무를 했다면 통상임금의 50%, 8시간 초과분에 대해서는 100%가 적용됩니다.
3) 야간근로수당은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까지의 근무에 대해 발생하는 수당을 말하며, 이는 통상임금의 50%가 지급됩니다.
다만, 위와 같은 시간외근무수당은 상시근로자가 5인 이상인 사업장부터 적용되며, 3년의 유효기간이 있습니다.
3. 시간외 근무수당 계산법
1) 연장근로수당 = 연장근로시간 * 통상시급 * 1.5
2) 야간근로수당 = 야간근로시간 * 통상시급 * 1.5
연장근로 이면서 야간근로인경우 = 야간근로시간 * 통상시급 *2
(1일 8시간을 초과한 근무이면서 야간근무인 경우를 말합니다)
3) 휴일근로수당 = 휴일근로시간 * 통상시급 * 1.5
다만 휴일근로수당은 8시간 기준이기 때문에 8시간을 초과하는 시간에 대해서는 0.5를 가산합니다.
예시를 하나 들면
일요일(휴일)에 12시간을 근무했다고 가정하면
휴일근무수당 = [(통상시급 x 8 x 1.5) + (통상시급 x 4 x 2)]
이렇게 계산하면 되고, 그중에 한시간이 야간근로에 해당하는 시간이었다면
휴일근무수당 = [(통상시급 x 8 x 1.5) + (통상시급 x 3 x 2) + (통상시급 x 1 x 2.5) ]
이런식을 가산하여 수당을 계산하게 됩니다.
4. 정리 및 요약
간단하게 시간외근무수당의 개념, 종류 그리고 계산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각 종류가 중복으로 가산이 될 수 있어서 이해가 잘 안되시는 분들이 많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궁금하신점이 있으시면 댓글 달아주시면 성실하게 답변드리겠습니다.
시간외수당 : 규정된 근로시간을 초과해 근무한 시간에 대해 지급되는 수당 시간외수당의 종류 : 연장근로수당, 휴일근로수당, 야간근로수당 연장근로수당 : 1일 8시간 또는 1주 40시간 이상 일했을 때 지금 (통상임금의 50% 지급) 휴일근로수당 : 주휴일 또는 근로자의날에 일했을 때 지급 (8시간 이내 : 통상임금의 50% 지급, 8시간 초과 : 통상임금의 100% 지급) 야간근로수당 : 오후 10시부터 익일 오전 6시 사이에 일했을 때 지급 (통상임금의 50% 지급) - 상시근로자수 5인 이상 사업장부터 적용됨 |
만약 정당한 근로에대하여 시간외근로수당을 제대로 받지 못할 경우가 발생되면
이는 임금체불에 해당하며, 고용노동부를 통해 신고하고, 임금을 받을 수 있도록 절차를 진행하게 됩니다.
이에 대한 내용은 추후에 다시 한번 자세하게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임금과 관련된 부분인 만큼 정확하게 숙지하셔서 근로자의 권리를 지킬수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올리씨네 이야기 > 업무통인사통'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년 최신 난임치료휴가 완전 정리&한눈에 보기 (1) | 2025.04.10 |
---|---|
가족돌봄휴가 : 가족을 위한 소중한 시간 (0) | 2025.04.08 |
2024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단축근무 대상 확대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0) | 2023.12.11 |
쉽게 이해하는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임산부, 단축근무, 필요서류,선택이 아닌 권리] (0) | 2023.11.30 |
4대 사회보장보험 월급도둑? 의의와 필요성 (0) | 2022.06.2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