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올리씨네 오신걸 환영해요

올리씨네 이야기/업무통인사통10

쉽게 배우는 시간외 근무수당! [종류, 계산 방법, 총정리] 근로자들이 가장 관심이 많은건 역시 임금에 관련된 부분이라고 생각합니다. 그 중 예민할 수 밖에 없는 시간외 근무수당에 대해서 지금부터 설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시간외 근로수당의 개념 시간외근로수당이란 근로기준법 제 56조에 명시되어 있는 내용으로, 규정된 시간을 초과해 근무한 것에 대하여 지급되는 수당을 이야기합니다. 법 조항을 살펴보면 아래와 같이 규정되어 있습니다. 제56조(연장 ·야간 및 휴일 근로) ① 사용자는 연장근로(제53조ㆍ제59조 및 제69조 단서에 따라 연장된 시간의 근로를 말한다)에 대하여는 통상임금의 100분의 50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휴일근로에 대하여는 다음 각 호의 기준에 따른 금액 이상을 가산하여 근로자에게 지급하여.. 2023. 12. 13.
2024년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단축근무 대상 확대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저번에 언급한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 이야기 해보려합니다. 1.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이란? 육아휴직으로 인한 경력단절 대신 일하는 시간을 줄여 양육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한 제도입니다. 단축 후 근로시간은 주당 15시간 이상이어야 하고, 35시간을 넘어서는 안됩니다. 2.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 - 현행 : 만 8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2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 - 2024 : 만 12세 이하 또는 초등학교 6학년 이하의 자녀를 둔 근로자 (7월 시행 예정) 단, 육하휴직을 다 사용하지 않은 근로자가 사용할 수 있습니다. 3. 육아기 단축근무 급여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기간 중 급여에 대해서는 일을 한 시간에 대해서는 회사가 지급을 하고, 단축된 시간에 대해서는 고용센터.. 2023. 12. 11.
쉽게 이해하는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제도 [임산부, 단축근무, 필요서류,선택이 아닌 권리] 안녕하세요 올리씨입니다. 오늘은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에 대해서 설명드리려고 합니다. 임산부 단축근무제도 라고도 하는데요. 이는 임산부의 총 근로시간을 줄여 임산부가 중요한 시기에 보호받을 수 있도록 배려하는 제도입니다. 근로기준법 제 74조에는 임산부의 보호에 대해 명시하고 있습니다. 1. 내 용 그 중 제 7항에서 임산부 단축근무제도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데 임산부는 1일 2시간의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를 허용해야 한다고 언급되어 있습니다. 2. 적용 대상 모든 임산부가 단축근무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고, 이 제도를 이용할 수 있는 시기가 정해져 있습니다.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근로자는 단축근무제도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근무시간 단축은 1일 2시.. 2023. 11. 30.
4대 사회보장보험 월급도둑? 의의와 필요성 급여명세서를 볼때마다 매번 상당량이 빠져나가는 사대보험. 그냥 막연히 나라에서 떼간다고 생각하면 더 아깝게 생각이 들텐데요. 사대보험은 무엇이 있는지, 어떻게 사용되는지, 어떤 혜택이 있는지 등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4대보험이란? 4대보험은 근로자의 권익보호를 위한 국가제도로서, 선택가입이 아닌 의무가입인 사회보험을 말합니다.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국민연금을 일컬어 4대 사회보험이라고 하는데요. 주 15시간 미만 근로자는 가입이 제외됩니다. 또한 산재보험은 보험료를 전액 사업주가 부담하지만, 국민연금과 건강보험, 고용보험은 사업주와 근로자가 나눠서 부담하게됩니다. 1. 건강보험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건강보험은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발생하는 고액의 진료비 부담을 줄이기 위해 만든 사회보.. 2022. 6. 20.
한눈에 파악하는 임신기간의 근로시간 단축 [대상, 내용, 급여, 신청방법] 사용자는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 근로자가 1일 2시간의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하는 경우 이를 허용하여야 한다. 다만, 1일 근로시간이 8시간 미만인 근로자에 대하여는 1일 근로시간이 6시간이 되도록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할 수 있다. [근로기준법 제 74조 7항] 임신기의 근로시간 단축이란? 출산휴가 등과 별개로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의 여성 근로자가 일일 2시간의 근로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제도입니다. 1. 대상 임신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 있는 여성근로자 2. 내용 1일 2시간의 근로시간 단축을 신청할수 있고 사용자는 이를 허용해야 합니다., 다만 1일 근로시간이 8시간 미만인 경우 1일 근로시간이 6시간이 되도록 근로시간 단축을 허용할 수 있습니다. 사.. 2022. 6. 8.
반드시 알아야하는 근로자의 고용형태 [정규직,계약직,기간제,무기계약직,파견직 등] 2030 한참 취업전선에 뛰어드는 사람들은 막연하게 해당 직종과 연봉 정도만 보고 이력서를 내곤 합니다. 하지만 취업이 되고 업무현장에 들어서면 고용형태에 따라 여러 변수들이 있기 때문에 고용형태를 알아두는것이 좋습니다. 보통 정규직과 계약직 정도는 다들 알고 있겠지만, 좀 더 구분해서 간단하게 파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정규직 근로자 “근로자”란 직업의 종류와 관계없이 임금을 목적으로 사업이나 사업장에 근로를 제공하는 사람을 말한다. (근로기준법 제 2조 1항) 이중 정규직근로자는 ①사용자와 직접 근로계약을 맺고, ②근로기간의 정함이 없는 근로계약을 체결한 고용형태입니다. ③전일제로 근무하게 되며 사전상으로는 정년까지 고용이 보장되는 근로자를 정규직 근로자라고 합니다. 2. 비정규직 근로자 일반적으.. 2022. 6. 2.
반응형